본문 바로가기
도서관

2025년을 시작하며 읽기 읽기 좋은 책/2024년 책 best 3 추천/책 3권 추천

by 양뱅89 2025. 1. 3.

썸네일

벌써 2025년이 되었습니다. 

 

2024년이 시작될 때만 해도 이렇게 빠르게 시간이 지날 거라고 생각도 못했는데..벌써 한 살을 더 먹었습니다. 뭔가 시간은 지나가고 배운 것도 이룬 것도 없다고 생각하지만 그럼에도 배운 것은 있고 얻은 것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새해가 되었으니 새로운 마음으로 한 해를 시작하고 싶으신 분들도 많을 것입니다. 그래서 작년과 마찬가지로 2024년 동안 제가 읽은 책 중에서 추천하면 좋겠다고 생각되는 책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읽은책

2024년도에는 2023년도보다 바쁘다는 핑계로 12권의 책밖에 못 읽었습니다. 목표는 12권이었는데 말이죠...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말 괜찮았던 책 3권을 추천하겠습니다. 


▶ 2025년 새해에 읽기 좋은 책 TOP 1. 세이노의 가르침

세이노의 가르침
세이노의 가르침

첫 번째 책은 [세이노의 가르침]입니다.

 

이미 너무나도 유명한 책이기도 하고 무료 PDF 버전도 인터넷에 많이 퍼져있습니다. 2023년 예스24 올해의 책이기도 하고 22주간 1위 자리를 놓치지 않았고, 자기 계발서적 관련해서는 아직까지 10위권 안에 있기도 한데요. 페이지 수는 736쪽으로 방대하지만 가격은 착합니다(?)

 

무려 6,480원이니까요. 한 페이지에 10원도 안하는 가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책은 제 인생에 있어서 앞으로의 인생에 있어서도 TOP 5 안에는 들어갈 책이지 않을까 싶은데요. 보통의 책과는 다르게 날 것의 표현이 있지만 오히려 그것 때문에 더 정신을 차리게 만드는? 책인 것 같습니다.

 

호불호가 갈릴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하지만 읽어보면 생각이 달라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제가 작성한 포스팅을 확인해 보세요.

 

세이노의 가르침/ 단 한 권의 자기계발서를 읽어야 한다면/여러번 읽어야 할 인생 자기계발서

전 세계에는 무수히 많은 자기계발서가 있습니다. 하지만 그중에서 만족할만한 책은 많지 않죠. 이미 많은 사람들이 극찬하는 책이기도 하지만 얼마나 내용이 알차길래 추천하나 궁금했던 책.

yangbaeng.tistory.com


 

2025년 새해에 읽기 좋은 책 TOP 2. 경제기사 300문 300답

경제기사 300문 300답
경제기사 300문 300답

다음은 [경제기사 300문 300답]입니다.

 

저는 4년째 [한국경제신문]을 구독하고 있는데요. 신문을 읽고 있기는 하지만 뭔가 아직도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많아서 이 책을 읽었습니다. 이 책은 블로그에 올리지는 않았는데요. 책이 굉장히 두껍습니다. 그래서 읽는 시간도 엄청 오래 걸리기는 했지만, 신문을 읽으시는 분들이 한 번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대신 출퇴근길에 읽기는 굉장히 힘들다는 점으로 집에서 책을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2025년 새해에 읽기 좋은 책 TOP 3. 두려움 없는 조직

두려움 없는 조직
두려움 없는 조직

이 책은 제가 2024년 마지막으로 읽었던 책입니다. 중간관리자인 팀장이 되면서 선물을 받은 책인데요.

 

리더의 역할에 대한 이야기, 심리적 안정감이 조직에게 주는 긍정적인 것에 대한 이야기가 주를 이룹니다. 갓 팀장이 된 사람이 읽으면 좋고, 그리고 경력이 오래된 팀장/부장/사장/대표님들 모두 읽어도 좋은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책에 대한 내용은 제가 작성했던 글을 참고해 주세요.

 

[서평]두려움 없는 조직/팀장 책 추천/사장이나 대표가 읽으면 좋은 책/

2024년 12월 평사원이던 제가 승진을 하면서 회사의 중간관리자로서 첫 발을 내디뎠습니다. 그러면서 저와 오랜 시간 함께 했고 롤모델이었던 팀장님에게 책을 선물 받아서 읽게 되었는데요.  

yangbaeng.tistory.com


▶ 함께 보면 좋은 글

 

2024년을 시작하며 읽기 좋을 책 3가지 추천/2023년 올해의 책 BEST 3 추천

2023년 한 해 동안 책을 읽으면서 제가 읽은 책 중에 베스트 3를 여러분들께 소개하고자 합니다. 책의 장르는 구분이 없고 단순하게 '아 이 책 읽기 정말 잘했다', '다음에 다시 읽어야겠다'라는 생

yangbaeng.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