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장인의 현실적인 재테크/연금저축&퇴직연금IRP

노후를 위한 23년 1월 연금저축/IRP 적립식 매수

by 양뱅89 2023. 2. 4.

안녕하세요 양뱅입니다

1월에도 저의 노후를 위한 연금저축과 퇴직연금 IRP에 매수를 진행했는데요, 당연하듯 1월 25일 월급날에 매수를 진행했습니다.

연금저축에는 동일하게 20만원을 입금했고, 퇴직연금IRP에는 10만원. 그리고 여전히 연금저축에는 [Tiger 미국나스닥100]을 중심으로 하고 퇴직연금IRP에는 [Tiger 미국S&P500]을 중심으로 매수하고 있습니다.

연금저축

연금저축 매수

[Tiger 미국나스닥100]은 64,935원에 3주를 매수했고, [Tiger 미국S&P500]은 12,935원에 1주를 매수했는데요, 총 20만원을 입금해서 207,740원을 썼습니다. 그렇게 할 수 있는 이유는 연금저축계좌로 들어온 배당금 덕분입니다. 

연금저축

[Tiger 미국나스닥 100]의 보유비율은 22년 12월 대비 2.79% 더해진 73.99%이고, 그와 함께 꾸준히 매수하는 [Tiger 미국S&P500]은 12.02%로 오히려 약 3% 감소했습니다. [Tiger 미국나스닥100]의 비중이 늘어난 것이 그 이유인데요

1월에는 나스닥이 최고의 한 달을 보낸만큼 연금저축의 마이너스도 많이 회복을 하였습니다. 22년도 결산에서는 -13.44%였던 [Tiger 미국나스닥 100]이 -1.03%로 계산방법이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12%나 상승했습니다. [KODEX 미국나스닥100]은 -20%수준에서 -5%로, [Tiger 미국S&P500]은 -7% 수준에서 -2%로 회복했습니다.

그리하여 연금저축의 총계좌의 수익률은 2월 3일 금요일 기준 -1.75%입니다. 아직까지도 마이너스이긴 하지만 그래도 많이 회복된 것을 보며, 뒤늦게 연금저축을 시작한 저를 자책했습니다.

퇴직연금IRP

퇴직연금 매수

퇴직연금 IRP는 [Tiger 미국S&P500] 위주이기 때문에 12,390원 단가에 6주를 매수했습니다. 연금저축보다 5원 저렴한 금액에 매수하였고, 캡쳐하지는 못했지만 [KODEX TRF3070]을 10,970원에 5주를 더 매수했습니다. 

퇴직연금 현황

그리하여 [Tiger 미국S&P500]의 보유비율은 46.93%로 22년 12월에 비해 0.3%정도 늘어난 수준입니다. 그 다음은 [KODEX TRF3070]으로 26.78%, 아무런 매수를 진행하지 않는 [KODEX 미국나스닥100]과 [Tiger 미국나스닥 100]으 소폭 하락했습니다.

수익률 측면으로 봐도 [Tiger 미국S&P500] 2월 3일 금요일 기준 -7.43%에서 -2.07%로 [KODEX TRF3070]는 -3.63%에서 -0.5%, 환상적인 모습을 보인 나스닥 덕분에 [KODEX 미국나스닥100]과 [Tiger 미국나스닥 100] 역시 각각 11%, 12%정도 회복된 모습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퇴직연금IRP의 경우 위험자산비중이 70%를 넘어 2월에 10만원을 입금해도 매수를 진행하지 못하는 상황이 될 수도 있습니다.


환상적인 1월을 보낸 미장덕분에 저의 연금저축과 퇴직연금IRP의 계좌도 마이너스를 어느정도 회복하는 모습입니다. 하지만 2월에는 어떻게 진행될지..더 많이 오를지 아니면 다시 떨어질지는 모르겠지만 상관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적어도 연금저축과 IRP만큼은 20년 뒤를 바라보는 계좌이기 때문입니다.

저는 연금저축과 IRP의 가장 중요한 것이 꾸준함이라고 생각하는데요, 하지만 사람일이라는 것이 어떻게 될지는 모르기 때문에 제가 이 계좌를 해지하지 않고 또 적어도 이정도 금액을 20년간 계속 적립할 수 있기를 바랄 뿐입니다. 

댓글